약용식물관리사 자격증 이라는 것도 있네요? 

들어본 적 있나요? 저는 처음 듣는 자격증이긴 하지만 관심이 좀 있는 분야라서 눈과 귀가 쫑긋 해지더라구요. 사실 관심은 있지만 약용식물 그러면 산삼이나 영지버섯 등 이런 말을 들어봤다는 정도인데요, 요즘은 건강관련된 여러 프로그램이 많아서 거기서 나오는 약초들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관심 있는 분야를 좀 더 깊게 공부해 볼 수 있을 것 같은 약용식물관리사 자격증 이라는 것은 무엇일까요? 




이 자격증은 국가공인 자격이 아닙니다. 공인자격도 아니고 민간등록자격입니다. 민간자격검색을 해보니 약용식물관리사 관련된 자격증은 총 23개입니다. 

자격관리기관 또한 여러 군데이기 때문에 진짜 자격증을 취득해서 이것으로 경제활동을 하고자 한다면 여러 기관 중에서 자격증 취득자의 취직, 취업 등을 잘 관리해주는 곳으로 잘 선택해서 익혀야 할 듯 합니다. 

민간자격검색으로 알아 본 약용식물관리사 자격증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은 2014년 등록한 주식회사 한국자격중앙협회, 한국능력개발원, 한국자격개발원 등에서 등록한 약용식물자원관리사 라는 자격명입니다. 마찬가지로 2014년 등록한 세계자연요법연구협회에서는 약용식물관리사 라는 자격명입니다. 

이 외에도 각각의 기관에 따라 약용식물가공지도사, 약용식물해설사, 약용식물자원활용지도사, 약용식물자원활용지도사, 산야초약용식물관리지도사, 항노화약용식물관리사, 산약초약용식물관리사, 약용식물감별사라는 자격명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23개나 있는 약용식물관리사 자격증 관련해서 각각의 기관별 시험일정 및 과목, 자격증 발급에 관해서 몇가지를 소개합니다. 

1. 주식회사 한국자격중앙협회의 약용식물자원관리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등록 제 2014-1394호 

시험은 1차와 2차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1차 : 약용식물 재배기술, 약용식물 관련 법규, 약용식물학 개론, 약용식물각론 4과목 각각 25문항에 100점 만점, 객관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차 필기시험에 합격한 후 2차 실기 시험이 직무교육 즉 현장실습 16시간 의무교육으로 대체될 수 있는데 직무교육 이수는 약용식물관리사 자격증 발급 조건이므로 반드시 이수해야 합니다. 

2차는 국산과 수입산 감별과 유사식물감별 실습을 하는 실기 시험입니다. 그리고 약용식물관리사 2차 실기 시험은 직무교육으로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 

약용식물관리사 자격증 취득의 필수 조건인 직무교육은 약용식물 감별 및 채취로 한주에 4시간씩 4주에 걸쳐 이루어집니다. 접골목, 마가목, 구지뽕, 산뽕, 송담, 칡, 단풍마, 느릅나무, 벌나무, 자소엽, 어성초, 야관문, 삼지구엽초, 토사자, 구기자, 상황버섯, 운지버섯, 차가버섯, 덕다리버섯 등이 실기 재료가 됩니다. 

한국자격중앙협회의 약용식물자원관리사 자격증은 자격취득일로부터 3년마다 갱신하고 갱신비용은 15,000원이 필요하게 됩니다. 



한국자격중앙협회에서의 여러 자격시험 일정은 약용식물관리사 자격증 비롯해서 총 6번이 있습니다. 2월21일~24일, 4월24~27일, 6월26~29일, 8월21~24일, 10월23일~26일, 12월18일~21일 입니다. 응시료는 전 종목 공통 6만원, 직무교육비는 종목별로 다르며 자격발급비는 공통 3만원입니다. 

2. 한국자격개발원의 약용식물자원관리사 - 민간자격등록번호는 제 2014-4619 

1차 : 각 식물자원 및 약용식물 관련 이론, 역사,분포, 구조 등의 개론, 성상과 특징 구조 등의 각론, 재배방법, 병충해 방지, 환경조성 등의 관리, 농원운영, 농원조성, 활용방법, 유통마케팅 등의 활용, 관련법규 등 다섯과목 각 20문항씩 100분간의 시험을 치룹니다. 

한국자격개발원의 약용식물관리사 자격증 취득 위한 1차 시험 합격기준은 매 과목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입니다. 

2차 : 각 식물자원 및 약용식물에 대한 감별과 관리, 활용 능력을 40분간 평가하게 되며 전 과목 득점 합계 평균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필답형 주관식으로 4과목 총 20문항입니다. 




한국자격개발원의 약용식물관리사 자격증 취득 시험은 1차와 2차가 같은 날입니다. 2020년에는 총 4번의 시험을 치루게 되는데 3월15일, 6월14일, 9월6일, 12월13일입니다. 

이 외에도 약용식물관리사 자격증 발급기관에는 세계자연요법연구협회, 한국직업재활원, 협동조합 한국약초대학, 한국효소협회, 한국국공립대학 평생교육원 협의회, 산야초 약용식물자격개발연구원, 대그한의대학교, 대한항노화재활협회 등이 있으므로 좀 더 자세한 것은 각각의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되겠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