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나쁘기만 할까? 

이 단어만 들으면 다들 진저리를 치듯이 진짜 나쁜 성분이다 라고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무조건 콜레스테롤은 낮아야만 한다고 생각하나요? 



원래 콜레스테롤 이란 고등동물의 세포 성분으로 존재하는 대표적인 스테로이드 화합물의 일종으로 물에 녹지 않고 유기용매에 녹기 때문에 지질 즉 지방질로 분류되는 성분입니다. 

콜레스테롤 종류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혈액속에 있을 때는 단백질과 결합한 리포단백질 상태로 존재합니다. 결합한 리포단백질 종류에 따라 고밀도 리포단백질 즉 HDL 일명 좋은 콜레스테롤, 저밀도 리포단백질 즉 LDL 일명 나쁜 콜레스테롤로 크게 나누어 집니다. 

HDL 콜레스테롤은 혈관 벽에 쌓여 있는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합니다. LDL 콜레스테롤은 간에 축적된 콜레스테롤을 몸 여기저기로 운반합니다. 

콜레스테롤 흡수와 활동 



세포막의 주요 구성성분입니다. 따라서 뇌와 간, 신경조직 등에 많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성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 등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담즙산, 비타민D의 원료가 되면서 우리가 생명을 유지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성분이 바로 이 콜레스테롤 입니다. 

우리 몸 속에서 필요한 콜레스테롤의 대부분은 당질과 지방산에서 생겨난 아세틸코에이라는 물질에서 주로 간과 소장에서 체중 1kg당 하루 약 12~13mg이 생산됩니다. 

음식에서의 콜레스테롤은 개인에 따라 흡수량의 차이가 큽니다. 하지만 몸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의 3분의1에서 7분의 1정도에 지나지 않습니다. 

우리 몸은 음식으로 콜레스테롤 섭취가 많아지면 체내에서의 합성량은 적어지게끔 조절되고 반대로 섭취량이 줄면 체내 합성량이 많아집니다. 

따라서 콜레스테롤 공급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게끔 조절이 됩니다. 따라서 식사 등으로 섭취하게 되는 콜레스테롤의 양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에 영향을 크게 준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즉 식사 등으로 우리가 콜레스테롤 높은 음식 등을 먹어서 수치가 높아지거나 하는 직접적인 영향은 거의 없다고 보기 때문에 현재 콜레스테롤 하루 섭취량의 기준치 등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대표적으로 콜레스테롤 높은 음식, 식재료 그러면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재료로 달걀이 있습니다. 그리고 어패류나 육류에서 섭취하는 양도 많은 편입니다. 

식사 등으로 섭취한 콜레스테롤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는 하지만 현재 혈중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사람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또 고령의 경우 콜레스테롤 수치를 너무 신경써서 달걀, 육류, 어패류 등을 섭취하지 않으면 영양결핍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항상 콜레스테롤이 높은 상황만을 생각합니다. 하지만 만약 우리 몸을 구성하는 필수 성분인 이 콜레스테롤 부족하다면 어떻게 될까요? 



세포막이나 혈관이 약해지고 면역력이 떨어지고 뇌출혈을 일으키기 쉬워집니다. 하지만 우리의 현재 식생활에서 콜레스테롤이 부족하거나 할 일은 없으니 염려할 필요는 없습니다. 

혈액 속의 LDL콜레스테롤이 높고 HDL콜레스테롤이 낮은 상태를 이상지질혈증, 고지혈증 등으로 부리기도 하는데 이렇게 되면 콜레스테롤이 혈관벽에 축적되어 동맥경화를 유발하고 허혈성심질환, 뇌경색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콜레스테롤을 음식으로 섭취해도 혈중 수치에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는 역시 몸 속에서 이들의 균형이 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LDL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육류는 적당히, HDL 콜레스테롤 늘려주는 효과가 있는 등푸른생선, 그리고 콜레스테롤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는 식물성 지방질을 섭취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